<특집-글로벌플레이어>
한민족의 글로벌화를 이끄는 든든한 역군, 한국상인 한상. 세계적인 한상기업과 기업인들은 우리의 또 다른 자산이다. 세계화·정보화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있지만, 전 세계가 주목하는 것이 바로 민족 네트워크다. 더욱이 생산분산화구조가 더욱 복잡하게 변화하는 세계에서는 의도적인 네트워킹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집중되기 시작했다. 우리 정부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700만 재외동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5일을 ‘세계 한인의 날’로 제정하기도 했다. 세계해외한인무역협회·한상네트워크연구회 등 이들을 지원하고 연구하는 단체도 잇따라 생겨났다. 총 704만명에 이른다. 이 중 중국에 거주하는 동포가 276만명으로 압도적이다. 그 뒤를 미국과 일본이 잇고 있다. 외국국적을 갖고 있는 동포는 2007년 12월 말 현재 405만명이다.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재외한인단체도 4000개가 넘는다. 이 중 300대 한상의 총 매출은 2006년 기준 32조원으로, 우리나라 국내 총생산의 3.8% 규모에 이를 만큼 성장했다. 권병하 헤니권코퍼레이션 회장, 미국 현지 최초 한인자본으로 출발한 월셔은행의 고석화 이사장, 러시아의 대표적인 리스 회사 로그네스의 CEO인 김스타스 사장, 베트남 공단 조성 사업 허가를 따낸 홍선 한국플라스틱 대표,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에서 비즈니스센터 아웃소싱 사업을 운영하는 김은미 CEO스위트 대표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권병하 회장은 ‘발전소 설비 동력전달장치"를 전 세계 36개국에 영업소를 운영 하며 수출해 연 매출 1억5000만달러를 올리는 등의 활약을 하며 전 세계에서도 유명한 인물이다. 코라오그룹이 있다. 이 기업을 일군 사람은 한국인 오세영 회장이다. 아프리카 대륙 동부 해안에 위치한 탄자니아에서도 한상이 뛰고 있다. 이곳에서 이태조 사장은 인트코 인베스트먼트를 설립해 무역업을 하고 있다. 아프리카 한상을 지원하기 위해 케냐상공인연합회도 설립됐다. 에도 공헌하는 바가 크다. 중국과 인도의 경제 성장 뒷면에는 이를 이끄는 화상과 인상이 있었다. 세계적으로 3000만여명에 달하는 화상에 힘입어 화교상권은 유대인 상권에 이어 세계 2위 민족상권을 구성하고 있으며, 화상 자본의 활발한 투자는 중국 경제의 활력을 높이는 데까지 큰 도움도 주고 있다. 어느새 한국 기업들의 큰손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한국기업이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는 데 도움을 주는 동반자 역할을 하기도 한다. 재외 한상과 한국 기업이 상호 윈윈하는 모델이 구체적으로 실현 되고 있는 것. 역경을 딛고 일어선 한상이 세계시장에 진출하려는 국내 업체를 이끌어주는 방식으로, 이는 한상 네트워크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다. 홍보관이 마련됐다. 한국무역협회(KITA)와 세계해외한인무역협회(OKTA)는 지난 4월 공동으로 e마켓플레이스(www.tradeKorea.com)를 열었다. 이곳에서 국내-교포기업 간 기업·상품·비즈니스 정보 교환, 국내기업과 해외 한인교포기업이 수출입거래를 직접 할 수 있게 됐다.
◇정책 지원 절실=그동안 재외동포 비즈니스 네트워크 활용에 대한 한국정부의 정책은 거의 전무한 상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업계와 학계에서는 이와 관련한 정책 현황을 정부 어느 부처에 이야기해도 전혀 알 수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재외 동포가 운영하는 기업의 실태 파악이 제대로 돼 있지 않은 것도 문제다.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기초 단계도 다져지지 않은 것이다. 위한 통합 정책과 관련 법안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책세미나에서 윤조셉 국제통상전략연구원장은 “재외동포 경제네트워크의 획기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모국정부가 중심이 돼 전 세계 동포들과 함께 민족 브랜드를 육성해야 한다”며 “경제, 교육, 문화 등 재외동포 네트워크의 주체는 항상 재외동포가 돼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자료출처 : 전자신문 /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kr / 기사입력 2008-09-24 >
해외 창업 성공기-호주 코스트 그룹 코스트그룹(대표 천용수 www.ekoast.com)은 호주에서 국내외 15개의 현지법인 및 계열사를 통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자원재활용·유통·화학·정보통신·무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 에서 활동을 펼치고 있는 대표 ‘한상’이다. 지난 1983년 호주에서 ‘아시안 십 서플라이(ASIAN SHIP SUPPLY)’를 창업한 이래 1992년에는 ‘코스트 평양사무소’를, 이어 1994년에 한국에 ‘미드랜드코리아’를 설립하는 등 전 세계를 대상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또 중국에서는 ‘코스트 단둥’ ‘코스트 베이징’ 등 법인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미들랜드코리아’, 보안 솔루션 업체 ‘엑심테크’, 화장품 업체 ‘미샤’ 등 주요 계열사에서 고르게 매출을 올리고 있다. 있다. 또 호주에서 재생용지 수출 1위 업체로 연간 10만여톤을 수출하고 있으며 서호주에서 자원재 활용센터를 운영하면서 지역 사회에도 많은 기여를 했다. 6000만달러 이상 올리는 한편 북한에서 설탕 독점권을 따내 한 해 12만톤의 설탕을 공급한다. 이 밖에 조미료 등 생필품도 북한에 공급하고 있다. 러시아 등에서 디젤유·벙커씨유 등을 구입해 북한 동해안 지역의 광산에도 공급하고 있다.
천용수 코스트그룹 회장은 지난 1983년 호주로 이민가 창업한 이래 한국·호주·북한·중국 등에 12개의 기업을 둔 코스트그룹을 일궈냈다. 대표 해외 현지 창업 성공사례로 손꼽히며 현재 ‘세계해외한인무역협회(World-OKTA)’ 회장직을 맡고 있기도 하다. 한 선원이 단백질 제제인 ‘알부민’을 주문해달라는 부탁에 약을 배달해줬고 그 선원은 수고비 명목으로 그에게 약간의 돈을 건넸다고 한다. 여기서 아이디어를 얻어 배에 물품을 납품하는 일로 호주에서의 첫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유통, 자원재활용 등으로 사업영역을 넓혀왔다. 사무소를 열어 15년간 활발한 대북사업을 펼쳤다. 그는 2004년 남북 냉각기에도 평양에서 ‘제1회 평양무역상담회’를 여는 등 적극적으로 사업을 진행해 왔다. 북한에 주유소와 아파트를 건설하는 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사업에서 신뢰가 얼마나 중요한 지를 절실히 느꼈다. 또 전문 경영인을 두고 경영을 맡기는 것도 그의 이러한 철학에서 비롯된다. 할 때는 전문경영인을 둔다. 믿고 맡기는 신뢰 경영이 제일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통일부), 서부 호주 한인회 표창(대통령), 무역의 날 표창(무역협회) 등을 수상하기도 했다.
<자료편집/하얼빈김병건>
|
'세계해외한인무역협회 [world-OKTA] > 월드옥타 e-Loun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adeKorea 뉴스레터] eBay협력, tradeKorea e시장개척단 사업 실시 (0) | 2008.10.08 |
---|---|
제2회 세계한인의 날 기념 재외동포정책 세미나/외교통상부+전남대학교 (0) | 2008.09.30 |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China Biz Info]와 코트라 중국 투자통상 뉴스 (0) | 2008.09.22 |
조원진 국회의원 재외동포 권익강화 법안 '해외동포 600명 대상 설문조사" (0) | 2008.09.17 |
한겨례 대명절/仲秋節=추석=한가위/보름달 만큼이나 풍요로운 마음 (0) | 2008.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