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Economic)이야기/중국 경제 경영정보

2006년 中國 勞動動向 分析,勞使關係 및 勞動市場

향기男 피스톨金 2006. 2. 19. 12:01
 

<정책 참고자료>



2006년 中國 勞動動向 分析

- 勞使關係 및 勞動市場을 중심으로 -


  2006. 1













駐 中國 大韓民國 大使館

이 태희 노무관     


Ⅰ. 개 황


  □ 중국 경제의 급속한 성장 과정에서 초래되고 있는 발전과 분배의 불균형 현상(지역간 발전격차, 계층간 소득격차)이 표면화

  - 중국 지도부는 1978년 개혁․개방을 시작한 이래 견지해온 성장 일변도의 정책이 초래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지 않을 경우 정치적/사회적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인식이 팽배

□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국가 발전 전략을 기존의 불균형 고도성장 위주의 정책(선부론/先富論)에서 지속가능한 성장 및 분배와 형평을 강조하는 정책(공부론/共富論)으로 전환

□ 노동문제는 이러한 전략 기조 변화의 가장 직접적이고 강력한 動因의 하나가 되고 있으며, 빠르게 변화하는 노동 환경에 걸맞는 새로운 노사관계 및 노동시장정책 수립과 집행이 요구되고 있음.

  - 경제발전과 함께 외자기업, 비공유제기업 중심으로 기업의 소유권과 경영권이 분리되면서 노사관계 부문에서 근로자들의 권리의식이 신장되고, 노사관계 문제가 관심의 초점으로 대

  - 계획 경제 하에서는 생각할 수 없었던 국유기업 구조조정 등에 의한 대량 실업과 인력 수급 불균형 등이 초래.

□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것처럼 노동정책을 포함한 중국 정부의 정책 기조 변화가 그 자체로서 이론적/ 현실적 모순을 내포하고 있으며, 목표 달성에도 일부 난관이 예상됨.


Ⅱ. 중국의 11차 5개년 계획과 노동정책 방향

□ 2006년은 제11차 5개년 계획(약칭 “11․5 계획”/2006년-2010년)이 시작되는 해로서 중국에 매우 특별하고도 의미 있는 해임.

   * “11․5 계획”은 지난해 10월 개최된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제16기 5차 전체회의(이하 16기 5중전회)에서 발표

  □ “11․5계획”중 가장 핵심적 내용이  6가지 필수 원칙(六個必須)으로 중국이 현재 직면하고 있는 근본적인 과제와 그 해결 방향을 응집

   <6가지 필수 원칙>

  

  ①  안정적인 고도성장의 유지

   - 고용창출과 공산당 체제의 유지와 사회적 안정 지속을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높은 경제 성장률 유지가 필수적임.

② 경제성장 방식의 변화

   - 요소투입 위주의 “외연적 성장”에서 효율성 개선이 관건인 “내연적 성장”으로 전환하는 한편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달성

  ③ 자주적인 혁신능력의 배양

   -  개혁개방 초기의 외자도입을 통한 기술흡수 전략(이른바 시장-기술 교환전략)을 극복하여 자체 핵심 기술 개발 능력을 제고

  ④  도시와 농촌간의 협력적 발전

   -  농촌, 농민 문제와 관련 농촌 해체과정을 불가피한 추세로 인식하되, 적절히 그 속도를 관리하고 도시화를 종합적으로 추진

  ⑤ 조화로운 사회(和諧社會) 건설

    -  고도성장과정에서 나타난 소득격차 문제, 환경오염 문제, 자원부족 문제 등 각종 경제적/사회적 불안요인들을 완화

  ⑥ 개혁개방의 부단한 심화

    -  시장경제의 도입과 대외개방 확대를 앞으로도 지속하는 한편, 이를 위한 각종 제도개혁을 수행



□ 위의 “6가지 필수 원칙”으로부터 실업 및 소득격차 문제, 도시-농촌의 불균형 문제, 성장과정에서의 사회불안 확대 문제 등이 중국경제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점임을 확인

□ 노동정책과 관련하여서도 향후 고용안정성 증대 및 근로자 권익보호를 위한 정책적 조치들이 가시화되고 있음.

  -노동정책 변화양상을 단순화하면 아래 표와 같음.(노무관 개인적 견해임.)

분야

기존의 정책 방향

새로운 정책 방향

노사관계

안정 중시(갈등 봉쇄)

- 노동3권 중 파업권 삭제

- 공회(노동조합)의 소극적 역할

안정과 갈등 관리 중시

- 집체합동(단협)제도 활성화

- 노동합동법 입법추진

- 노동법 집행에 대한 감찰

   활동 강화

- 노동분쟁 해결에 있어서 공      회의 적극적 역할 강조

  임 금

소극적 임금정책

-인건비메리트를 통한 외국자본

  유치 등 촉진

- 낮은 최저임금 수준

적극적 임금 인상 유도

- 최저임금제도 개편 및 급속      한 인상

- 집체합동을 통한 임금 결정

   유도

노동시장

(고 용)

고용의 量 중시

- 노동집약적 업종 육성 및         적극적인 외자기업 유치

- 시용제도, 단기 노동계약제도     등을 통한 시장 탄력성 제고

고용의 質 중시

- 일종의 퇴직금제도 도입 등을

   통한 장기 고용 유도

- 장기적인 노동력 공급 부족      에 대한 대응 노력 강화

사회보장

탄력적 제도 시행

- 지역별, 기업별 예외 인정

전면적 제도 시행

- 예외 없는 제도 적용

Ⅲ. 노사관계 및 노동시장 정책 동향과 전망

1. 노사관계

가. 분야별 정책 동향

  □ 노동합동(근로계약) 제도 전면 개편

  ○ 중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全人代) 상무위원회는 근로자의 권익보호 차원에서 勞動合同法(근로계약법) 초안을 심의(2005년 12월)

   - 노동합동법 초안의 내용 중 상당 부분은 기존의 중국 노동법 등 관련 규정에 명시되어 있는 것들임

   - 노동합동 체결에 있어서의 근로자의 불이익을 최소화하기 위한 내용과 퇴직 근로자의 생계지원 및 근로자의 장기 근속을 유도하기 위한 내용 등은 새로이 도입.

  ○ 초안은 2006년 3월 개최되는 全人代에서 심의 확정될 예정이며, 심의과정에서 일부 내용이 수정될 가능성도 있음.

   - 초안이 원안대로 시행될 경우 노동합동(근로계약) 체결의 유연성이 저하되고, 노동합동 기간이 만료된 근로자에게 일종의 퇴직금을 지급하게 되는 등 기업의 부담이 상당히 늘어날 전망.

    * 현행 중국 노동관계 법령에 따르면, 노동합동 기간 만료 전에 회사의 귀책사유로 근로자와의 노동합동을 해지할 경우에만 근속년수별로 “경제보상금”을 지급(근속년수 1년당 1개월 급여/ 12개월 한도)토록하고 있음.(노동합동 만료에 따른 노동합동 해지 시에는 경제보상금 지급 의무가 없음)

     - 특히, 동 제도 개편 내용이 소급 적용될 경우 일선 기업 노무관리에 상당한 혼선도 예상.

노동3권(특히 파업권)의 실질적 보장

○ 현행 중국 실정법상으로는 노동단체의 파업권이 인정되지 않고 있으나 산업현장에서는 실제로 조직적이건 비조직적이건 파업(업무 거부)이 발생

   - 특히, 금전적 이해관계 등에 대한 근로자들의 민감도가 지속 상승함으로서 노동쟁의 건수는 매년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

 

이같은 상황에서 일부 전문가들은 근로자의 권익 보호, 노사관계의 건전한 발전 등을 위해 단체행동권 인정과 파업입법의 필요성 지적

   * 예컨대 2005년 10월 한 ․ 중 ․ 일 3국이 참가한 ‘제4차 동북아 노동포럼(북경회의)’에서 중국노동보장과학연구원 꿔위에(郭悅) 주임은 민영부문에서의 파업권 인정을 강한 톤으로 주장

○ 파업권 문제에 대한 중국 정부의 공식적 입장은 확인되지 않고 있으나  당장 파업권을 인정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임.

    - 현 상황 하에서 섣불리 파업권을 인정할 경우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산업현장의 노사관계 안정에 상당한 부담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임.

   -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문제 제기가 이루어질 전망이며, 이론적 토대도 강화시켜 나갈 것으로 전망

□ 工會(노동조합)의 역할 제고와  공회 설립 활성화 유도

○ 중국의 공회는 전통적으로 준 정부 조직으로서의 성격을 가지며 현행법상 공회가 근로자들의 이익을 대표하여 기업과 단체협상을 한다고 규정

   - 그러나 많은 공회 간부들이 기업의 관리직을 겸하고 있어 공회가 근로자의 권익보호에 태생적 한계가 있다는 비판이 제기

   - 이에 따라 노사간 분쟁 발생시 이의 해결을 공회의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면서, 근로자 권익보호를 위한 감찰 활동 등에 공회의 역할을 강화할 필요성 제기

○ 중화전국총공회는 모든 기업에 공회조직을 설립“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특히, 외자기업, 사영기업, 신규설립 기업 등이 주요 대상임.

   - 2008년까지 신규 공회 회원을 3,000만명 이상 확대할 목표를 설정해두고 있으며, 공회 미설립 기업 명단을 언론에 공개하는 한편, 공회 미설립 사업장을 지역별 우수기업 선정 시 배제

    * 2004년 말 중국 공회 수는 약 102만개, 조합원은 약 1억 4000만명 정도

□ 集體合同(단체협약) 체결 활성화

○ 종래의 집체합동은 국유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집체합동의 당사자라 할 수 있는 공회 간부의 이중적지위(기업의 경영관리자 및 근로자의 이익대변자)로 인해 형식적인 측면이 없지 않았음.

○ 그러나 2004년 5월 개편된 단체협약 제도(“集體合同規定”개정)가 앞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 동 규정은 개별 기업의 임금결정 등에 있어서 단체협상시스템을 적극 활용토록 유도하면서 노사의 단체협상 참여 의무를 부과

   - 또한 단체협상의 대상을 노무관리 전반사항을 포괄토록 함으로써 기업내부의 자율적인 노사관계의 규범 정착을 유도하고 있으며 단체협상 절차 등을 상세히 규정하여 실행력을 제고

   - 앞으로 외자기업, 사영기업 등을 중심으로 단체협약 제도가 노사관계의 중요 변수가 될 것임.

□ 임금 격차 시정 및 최저 임금 보장

○ 임금인상률이 ‘99도 이후 계속 10%대를 상회

  - 2004년의 경우 전국 도시지역 근로자의 평균임금은 16,024위엔으로 2003년의 14,040위엔 대비 14.1%가 증가. (‘03년은 전년 12,422위엔 대비 13% 증가).

  - 산업별․지역별․직종간 임금수준 격차가 계속 확대되고 있어 이로 인한 사회 불안정 초래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체불임금 조기 청산, 최저생계 보장 등조치를 강화

           

○ 특히 중국 정부는 2004년 3월 “최저임금제도”를 전면 보완

   - 개정된 “최저임금규정”에 따르면 최저임금 수준을 수시로 조정토록 하고, 최저임금 미지급에 대한 제재를 대폭 강화

     * 종전: 체불금액의 20%에서 100% 배상금 지급 → 개정: 체불임금의  100%~500%의 배상금 지급

   - 최저임금의 인상 빈도가 잦아지고 상승폭도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

       * 2004년 말을 기점으로 상당수 지역에서 10% 이상의 최저임금 인상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상당 기간 지속될 전망

□ 사회보험제도 등을 통한 사회안전망 확충

  ○ 임금 상승 외에 또 하나 중요한 것이 5대 사회보험, 주택기금 등 간접 인건비 문제임.

     * 중국은 현재 양로보험(=국민연금), 실업보험, 工傷保險(=산재보험), 의료보험, 生育保險(=출산보험) 등 5대 사회보험제도를 실시

  ○ 비용은 근로자들이 일부를 부담하지만 대부분 기업의 몫이고 이들 비용을 합치면 대체로 근로자 임금의 40% 정도임.

     * 가령, 근로자의 임금이 1,000위엔이면 기업이 사회보험 및 주택기금 명목으로 추가 부담해야 할 비용이 400위엔이고 따라서 실제 인건비는 1,400위엔임.

○  중국 정부는 사회보험제도 정착을 사회안전망 확충의 우선 과제로 인식하고 강력히 시행 중임

   - 고령화 진전과 퇴직자 및 실업자 증가로 기본양로보험의료보험 등 사회장 전반의 재정적 압박이 가중

   - 중국 정부의 재정지원에 한계가 있어 보험기금 재원마련을 위해 기업을 상대로 한 징수활동을 강화

   - 앞으로도 5대 사회보험의 법제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 고용단위 및 근로자의 사회보험 가입 및 사회보험료 납부를 엄격히 지도, 감독해 나갈 계획임.

나. 노사관계 전망

  ○ 근로자들의 권리의식 신장 등에 의해 노사간의 갈등이 표면화 되고 노동쟁의도 지속적인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임.

  ○ 그러나 일부 기업에서의 노사분규 등 갈등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노사관계는 단기적으로는 안정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의견임.

    - 근로자의 권익과 사회 안정망 확보를 위한 제반 정책적 조치들이 근로자들의 불만을 상당부분 완화할 것이며, 산업현장에서 노동운동을 조직하고 전개할 동력 확보도 아직은 미약한 상황으로 분석.

  ○  다만, 아래와 같은 일부 정책적 조치 등은  향후 노사관계의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 集體合同(단체협약) 체결 요구권 부여와 이에 따른 협약 체결 과정이 노사관계 불안의 불씨가 될 수 있음.

    -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국공유제 기업(public ownership)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것이고 이는 곧 대량 정리해고로 이어져 노사관계 불안요인으로 이어질 가능성.

  - 사회안전망 강화 명목으로 기업의 부담을 늘릴 경우 투자의욕 감퇴와 기업의 부담 회피 움직임이 노사간 새로운 쟁점으로 부각.

< 향후 노사관계에 대한 시각 : 낙관론 VS 비관론 >

  ▶ 낙관론은 최저임금제도 개편, 공회의 역할 강화, 노동법규 준수에 대한 지도 감독 강화 등 일련의 조치들이 근로자계층의 불만 완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보며, 조직적인 파업행위가 법으로 인정되지 않고 있는 점 등을 근거로 제시

  ▶ 비관론은 빈부격차 심화, 자본주의적 노동가치관 확산 등이 노사 갈등의 기폭제가 될 것이며,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공유 등도 중요 변수로 보며, 이러한 상황은 급증하는 노동쟁의 건수를 통해서도 확인된다는 것임.

2. 노동시장

가. 최근 노동시장의 주요 특징

◇  가파른 경제성장과 함께 일부 지역에서는 노동력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고급 기술인력의 부족도 심각한 상황

그러나 청년 실업문제 대두, 농촌지역 잉여 노동력 등 부문별 불균형 현상도 혼재하고 있어 중국의 노동시장은 매우 복잡한 양상

□ 안정적인 도시지역 등록 실업률 유지

‘90년대 후반 3.1% 수준을 유지하다가 2002년을 기점으로 4%대에 진입한 이후 최근 3~4년간 다소 안정적인 모습

구분

‘97

‘98

‘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11

실업자수(만명)

570

571

575

595

681

770

800

827

835

실업률(%)

3.1

3.1

3.1

3.1

3.6

4.0

4.3

4.2

4.2

  - 도시지역에서의 실업률 안정 추세는 “10 ․ 5계획󰡓기간(2001~2005) 중 다양한 루트의 일자리 창출에 따른 것으로 분석

    * 동 기간 중 약 4,000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따른 연평균 취업증가율이 4% 이상이었음.

도시 노동시장에서 구인자 대비 구직자 비율이 지속 상승함으로써 시장의 수급불균형 현상이 점진적으로 완화

  - 구인자 대비 구직자 비율이 높을수록 노동력 수급 균형이 이루어짐을 의미하며, 노동시장의 유연성과 고용사정이 호전되고 있음을 나타냄.

◀중국의 구인자 대비 구직자 비율 추이▶

    

구인-구직 비율

연도 / 분기

 

0.65

2001,1/4

 

0.73

2002,1/4

 

0.86

2003,1/4

 

0.89

2004,1/4

 

0.94

2005,1/4

그러나 공식 발표하는 실업률과 실제 실업률과는 상당한 괴리가 있다는 것이 일반적 지적임.

  - 도시지역의 경우 사실상 실업상태에 있는 정리해고자, 기업 여인력, 도시 내 직업 없는 농촌호구자 등을 감안할 경실제 실업률은 공식실업률을 상회할 수밖에 없음.

   * 중국 노동경제 전문가의 실제 실업률 추정

    - 중국 노동사회보장부 산하 "노동보장과학연구소" 부소장 마오잉(莫榮)은 중국 내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도시 실업률 추정치에 대해 질문하는 델파이 방식을 통해 2001년 실업률을 7.1%로 추정

    - 중국 사회과학원 '인구 및 노동경제연구소'의 차이팡(蔡昉) 소장은 가계표본조사 결과의 총고용인원 등을 이용하여 2002년 실업률을 7.3%로 추정


□ 취업구조가 빠르게 재편

○ 국유기업과 집체기업의 고용이 전체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기타 도시 신흥기업 (예: 유한책임회사, 주식회사, 사영기업, 외국인 투자기업 둥)의 고용비중이 점차 증

◀중국의 국유기업/사영기업 고용규모 비율 변화 추이▶

   

○ 산업별 취업 인구 비율이 점차 고도화되고 있으나 아직 1차산업 취업인구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실정

  - 2004년의 경우 취업인구 비율을 보면 1차 산업이 46.9%, 2차산업이 22.5%, 3차 산업이 30.6%를 차지

  - 특히 1차산업 취업인구비가 지속 감소하는 반면, 3차산업 취업인구비는 완만한 성장세가 확연

 

□ 청년 실업문제가 새로이 대두

○ 중국노동사회보장부와 노동보장과학연구소의 공동 조사 결과, 청년층(15세~29세) 실업률은 9.1%인 것으로 발표(2005.5)

  - 특히, 전체 구직자 중 청년층(15세~24세)이 차지하는 비율이 대체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

◀중국의 연령별 구직자 비율 추이▶

  

구분

2001

2002

2003

2004.6말

16세~24세

40.6

35.6

32.6

36.3

25세~34세

32.7

34.1

31.7

32.5

    35세 이상

26.7

30.3

35.7

31.2

  - 최근 34세 이하의 구직자 비율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점과 관련하여 종래 사회주의경제 하에서의 “졸업이 곧 취업”이라는 관념이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중국도 전형적인 청년층 고실업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보임.

중국 내 고등교육기관(전문대학, 기술학교, 직업학교 등 포함)을 졸업한 고학력 취업 대기자 수도 계속 증가 추세

                      ◀중국의 대졸자 및 취업대기자 추이▶

  

구   분

‘02년

‘03년

‘04년(예상)

'05년(예상)

대학 졸업생(만명)

145

212

280

340

고학력취업대기자(만명)

-

64

70

75

    출처: 한국은행 “해외경제포커스(2004-47호)”


○ 이처럼 최근 청년실업이 심각해지고 있는 이유에 대해 중국의 전문가들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점을 지적

  - 지속적 경제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고급인력 양성차원에서 지난 ‘99년을 전후하여 대학 등의 입학정원을 대폭 늘렸고, 2003년부터 이들이 처음으로 노동시장에 진입함으로써 과잉 공급

  - 청년 구직자들이 비교적 높은 보수를 받는 사무실 근무(白領)를 선호하는 반면, 소위 “3D 직종”은 기피하고 있으며, 기업들의 채용관행이 경력직 근로자를 선호하고 있어 신규 졸업생의 조기 취업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

    * 우리나라에서도 청년실업의 원인으로 “눈높이 취업” 관행 미흡, 경력직을 선호하는 채용 등을 지적하고 있는데, 양국이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음은 흥미로운 부분임.

○ 한편, 중국 일부 전문가들은 당면한 청년 취업난은 직업 선택의 문제이지 실업 문제가 아니라고 평가하는 경우도 있음.

  - 즉 현재의 청년 미취업자들은 1970년대 후반-1980년대에 출생한 대부분 독자 또는 막내인 사람들로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받기 때문에 생계의 어려움을 느끼지 않아 직업을 구할 때 매우 까다로운 태도를 보인다는 것임.


□ 일부 지역의 생산직 기능인력 부족 현상 심화

○ 인력 부족 현상은 주로 동남부 연해의 가공제조업체가 밀집된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음.

* 인력 부족 추정

   - 珠江 삼각주 일대는 인력 부족이 가장 심각한 지역으로 현재 약 200만명이  부족한 상태이며, 심천(深圳)지역은 약 40만명, 동완(東莞)지역은 약 27만명, 그리고 복건성 천주시(泉州市)와 포전시(蒲田市)는 약 10만명이 부족(중국 사회과학원 인구ㆍ노동 경제연구소 蔡昉 소장, 2005년 9월)

   - 이외에 산동성(청도, 위해, 연태 등)지역과 상해 인근 지역 등에서도 2004년을 기점으로 생산직 인력 부족 현상이 점차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

○ 생산인력 부족의 원인은 저임금 지속에 따른 근로의욕 감퇴, 경제 성장에 따른 인력 수요 급증, 서비스산업 성장에 따른 생산직 인력 유출 심화, 학력수준향상 및 1가구 1자녀 정책, 농촌 소득이 증가에 따른 농촌지역 유휴노동력 유입 둔화 등이 지적

○ 한편, 중국 진출 일부 한국 기업들은 최근의 생산인력 부족현상이 동종 업체간 과다한 인력 스카우트 경쟁 때문으로 보기도 함.

나. 향후 중국 노동시장의 5대 변동 요인

WTO의 가입에 따른 장․단기적 효과

  - WTO가입에 따른 영향은 장기적으로는 유리하나 경쟁력이 약한 산업에서의 대량감원 등으로 단기적으로는 불리할 것임.

  * 특히 자동차공업, 기계공업, 석유가공업, 석탄 채굴업 등은 경쟁력 약화로 고용규모가 감소할 것이나, 문화 ․ 정보 ․ 생명과학 ․ 환경과학 등과 소프트웨어기술 등 경쟁력과 비교우위가 있는 분야의 첨단기술 인재는 부족할 전

기업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리해고(下崗) 실시

  - 국유기업 등에서의 정리해고 근로자 규모가 연간 100만명 이하 수준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대규모 국유기업 등의 구조조정을 통한 효율화가 불가피한 실정이므로 정리해고자 규모는 다시 증가할 가능성

◀중국의 정리해고자 규모 연도별 추이▶  

 

구분

‘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11

정리해고자수(만명)

652

657

515

410

  260

153

76

재취업률(%)

42.0

35.4

30.6

26.2

  42.3

-

-

서부대개발 사업 등 실시에 따른 인력 수급 변화

  - 이들 지역 개발로 농촌인력이 비농업산업으로 이전하게 되어 고용압력이 가중되나, 대규모 인프라건설사업은 신규고용 창출

도시화 (특히, 농촌지역 소도시 개발)에 따른 인력 수급 변화

  - 소도시 개발로 도시 호구가 점차 개방어 농촌노동력의 이동이 늘어 고용 압력이 증가하는 반면, 도시 건설에 필요한 신규 고용창출

출산률 저하 및 고령화에 따른 인력 총공급 부족 현상

  - 노동인구 성장률의 지속적 하락에 따라 만성적 인력부족에 직면

  - 사회ㆍ경제 발전 등에 따라 중국은 “高출산율, 低사망률, 高자연증가율“에서 ”低출산율, 低사망률, 低자연증가율“로 이미 전환

◀중국의 노동력 증가율 추이 전망▶

다. 노동시장 정책 동향 전망

□ 노동시장 문제에 대한 중국 정부의 인식과 정책 방향

○ 긍정적인 변수들이 많기는 하지만, 현재의 노동시장 상황에 대한 중국 정부의 시각은 결코 낙관적이지 않은 것으로 관측

○ 현재 가장 시급한 과제가 체제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리해고자와 농촌지역 잉여 노동력(약 1억5천~2억명 추정) 취업 문제임

  - 이들 취업 취약계층의 불만을 순조롭게 해소하지 못할 경우 “11 ․ 5계획”의 근간이 흔들릴 수도 있을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노동력 수급 불균형 우려마저도 커지고 있음.

○ 중국 정부의 노동시장 정책 방향은 크게 거시적인 경제성장을 통한 일자리 창출, 정리해고자 재취업 촉진, 노동력의 합리적 배분, 신규 실업자 발생 억지, 취업 취약 계층에 대한 사회안전망 강화 등으로 요약


□ 취업 및 재취업 정책 동향

○ 중국 국무원은 중국 정부가 그간 시행해 왔거나, 앞으로 시행할 노동시장 정책을 망라한 종합대책인 “취업 및 재취업 업무 강화에 관한 통지” 발표(2005년 11월)

○ 동 통지는 아래와 같은 4대 핵심 목표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11․5계획” 기간 노동시장 정책의 기본 방향이 될 것으로 보임.

  ▶ 구조조정 실업자 문제 해결

   - 국유기업 구조조정 실업자와 1년이상 장기 실업자 등에게는 “재취업 우대증”을 발급하고 이들에 대한 창업 교육훈련도 강화

    * 이들에게 창업자금  대출지원, 채용 기업에 대한 세재혜택과 사회보장비 보조 등의 지원과 함께 공공근로 기회도 우선적으로 부여.

  ▶ 도시 지역 신규 노동시장 진입자 취업 지원

   - “일자리 창출”을 위해 비공유제 기업과 서비스업 등 3차 산업, 비교우위가 있는 노동집약적 산업을 집중 육성

   - 이외에 해외 노무수출, 농촌 인근의 소규모 도시 건설 활성화 등도 제시

  ▶ 도시/농촌 간 취업 연계 강화

   - 도시 유입 농촌 근로자에 대해 무료 직업소개, 취업 정보 제공 등 취업 지원 사업을 전개하고, 노동시장 정보 시스템도 확충

   - 농촌 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정부 주도의 실용적인 직업교육을 대폭 강화하고 원격화상 교육훈련 방식을 통한 직업교육도 강화

  ▶ 취업 관련 법제 정비 및 사회보장 정책과의 연계 메커니즘 구축

   - 勞動合同法(근로계약법), 사회보험법 등 취업 관련 법률을 정비하여 기업의 인력 감축 시 공회(노동조합)와의 협의, 보상금 지급 기준 강화, 노무파견업 인가 요건 등을 명문화

   - 실업보험, 양로보험 등 사회보험을 확충하여 사회안전망도 강화

   - 국제기준과 많은 차이가 있는 실업률 산정 기준을 일부 정비

□ 2006년 노동시장 정책 동향

○ 중국 노동사회보장부 텐청핑(田成平) 부장은 2005년 12월 개최된 “전국 노동사회보장 업무 평가 회의”에서 2006년도 노동시장 정책과 관련하여 “95146 목표”를 제시

  - 동 목표는 도시지역 신규 취업 증가인원 900만명, 정리해고 실업자 재취업 500만명, 이 중 40대와 50대의 재취업 100만명, 그리고 도시지역 실업률을 4.6% 이내에서 억제한다는 것임.

부문별 노동시장 불균형에 대한 대책도 추진

  ▶ 청년 실업 대책

   - 청년실업 완화를 위해 대학 졸업생에 대한 “인터넷 취업서비스 정보망”과 비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직업자격증 취득 훈련과정” 운영을 활성화

   - 범 정부적으로 “서부대개발” 사업, 공공근로사업 등에 청년 실업자의 투입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전망

  ▶ 연해 지역 노동력 부족 완화 대책

   - 이들 지역에서 임금 인상 등 근로조건 개선을 유도함으로서 농촌인력의 유입을 촉진

     * 지난 2004년 최저임금제도의 전면 보완으로 제도적 인프라는 이미 갖추어진 것으로 평가

   - 지방 정부 차원에서도 각 지방정부간 인력 교류 협정 체결 등을 통해 자체 실정에 맞는 대책을 강구

    * 예컨대 北京市의 경우 상대적으로 노동력이 풍부한 黑龍江省으로부터 5만여명의 노동력을 공급받는 대신 이들의 임금지불 보장, 양호한 근로조건 제공 등을 골자로 협정을 체결

  ▶ 戶口制度 개선

   - 인력의 지역 이동과 관련하여 유동성을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戶口制度의 개선도 이루어질 전망임.

     * 일부 지역의 경우 2005년도에 호구제도를 대폭 개정하기도 했는데, 2006년에는 제도 개편을 추진하는 지방정부가 보다 늘어날 것으로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