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사는 이야기들/세 상 칼럼들

칼럼들/조선족문화는 있는가? /북경중앙민족대학 황유복교수

향기男 피스톨金 2007. 7. 25. 10:00

 

조선족문화는 있는가?

 2007/07/24 흑룡강신문

모 언론사에서 '조선족문화에 대한 북경사람들의 시각'이라는 주제의 칼럼을 부탁받고 의도적으로 북경사람들과 조선족문화에 대한 대화를 해보았다.

 

북경에서 20년이상 거주한 '북경사람'들 가운데 60대에서 20대까지 될수록 다양한 직업과 년령층을 골라 인터뷰해 보았다.  그런데 생각밖에 북경사람들은 조선족문화에 대해 거의 아는것이 없었다.50대의 한 공무원은 "우리가 어릴때 최미선의 장고춤을 보고 무용예술의 극치라고 탄복했었습니다.

 

그리고 ‘연변인민 모주석을 열애하네'라는 노래는 누구나 다 부를수 있었지요. 그런데 이제는 조선족의 춤도 노래도 있는지조차 모릅니다”라고 했고 몇명의 대학생들은 “우리 반에도 두명의 조선족이 있는데 조선말도 모르고 우리랑 별로 구별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조선족문화는 한족이나 만족의 문화와 같다고 생각합니다"라고 했다."조선족음식문화는 경험해 보셨을것 아닙니까? 불고기, 김치, 랭면 그런것 말입니다"라는 나의 물음에 한 택시기사는 "글쎄요. 10여년 전까지만 해도 북경의 거리마다

 

조선족풍미(风味)' 라는 음식점이 많았는데 지금은 하나도 보이지 않고 한국풍미'라는 음식점만 남아있지요"라고 대답했다.그들과의 대화를 통해 북경에서 관찰되는 조선족문화는 중국주류문화에로의 동화와 한국문화에로의 ‘동화'라는 두개의 극으로 달리고 있음을 쉽게 파악할수 있었다.

 

‘문화대혁명'시기부터 조선족사회는 ‘조선어무용(无用)론'이라는 악성독감에 시달리게 되였고 수없이 많은 어린이들이 부모들의 의향에 따라 조선족학교를 포기하고 한족학교에 다니기 시작했다.

 

지난 세기 90년대초 동북3성의 주요도시에서 80%의 조선족어린이가 유치원에서 고등학교까지 한족학교를 다니면서 민족언어를 완전히 상실해왔다. 지금 점점 더 많은 민족언어를 모르는 조선족청소년들이 북경으로 진출하고 있다. 언어와 문화는 떼어서 생각할수 없다.

 

민족언어가 민족문화를 그 민족사회성원들에게 공유하게 하고 또 그것을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달하게 하기때문이다. 우리는 우리 문화를 이어가야 할 수많은 젊은이들이 우리 말을 상실하면서 민족문화를 전달받지 못하고 주류문화에 동화되고 있음을 안타깝게 지켜볼수밖에 없다.

 

북경에 거주하는 우리 말을 아는 조선족 젊은이들이나 50대이상의 조선족들에 의해 조선족문화는 한류에 편승한 한국문화에 ‘동화'되고 있다. 조선문 신문이나 잡지는 ‘한국어'로 편집되고 있고 지난 세기말에 존재했던 2000여개의 조선족음식점은 사라지고 조선족들이 운영하는 ‘한식점'들만 살아 있다.

 

선대들의 끈질긴 노력으로 150년이 넘는 어려운 정착과정을 거쳐 형성된 조선족사회는 아직도 엄연히 존재한다.

 

그렇다면 우리가 공유했던 조선족문화도 건재하는가? 이제 우리는 조선족문화의 총체성이 무엇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우리 문화의 총체성은 우리가 조선족일수 있는 기본요소일 뿐만아니라 조선족이 외부를 향하여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경쟁력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21세기의 화두는 문화이다. 그래서 오늘의 시대를 문화의 시대라고 한다. 국가나 민족발전의 열쇠는 문화이다. 때문에 연변조선족자치주의 경제와 사회의 발전을 이루어가기 위하여 우리는 조선족문화이고 중국문화의 한 부분이며 세계문화의 한 부분인 우리 문화를 재창출해야 한다.

 

/황유복(중앙민족대학)

 

*황유복교수께서 흑룡강신문에 기고한 칼럼들

  1  
조선족문화는 있는가? 
 
  2  
조선족사회가 직면한 '위기'현황과 해결방안  
 
  3  
조선족사회가 직면한 '위기'현황과 해결방안  
 
  4  
'동아의 새 국제관계와 중한관계 모색' 국제학술회 북경서 
 
  5  
조선족 발전에 존재하는 다섯 가지 문제 
 
  6  
조선족 발전에 존재하는 다섯 가지 문제  
 
  7  
지상포럼"조선족 어디로 가나"중간총화 
 
  8  
조선족을 위한 "명의 처방전"의 집대성  
 
  9  
정책에 따른 산업 선택에 눈길  
 
  10  
북경서 조선족경제발전 학술회의 개최 
 
  11  
세계적인 조선족네트워크 구축해야 할 때  
 
  12  
조선민족의 발전은 농촌문제를 떠날수 없다  
 
  13  
흑룡강신문사 창사 50주년 기념대회 화보  
 
  14  
조선족향촌경제 새 도약 기하자 
 
  15  
중화대지에 울려퍼지는 민족의 목소리  
 
  16  
70대 노인"나는 조선 마지막 국왕의 후손" 주장 
 
  17  
중국 한겨레사회, 책 한권으로 읽으세요! 
 
  18  
우리 민족문화콘텐츠 산업에 설자리가 있는가 
 
  19  
우리 민족 문화콘텐츠 산업에 설 자리가 있는가?  
 
  20  
황유복 교수와 그의 조선족 사랑  
 
  21  
조선족발전을 위한 세계적 공동체 구축  
 
  22  
'진달래문화산업발전 포럼' 열려 
 
  23  
연변 진달래문화원 조성사업 추진  
 
  24  
제10회 중한문화산업포럼 북경에서 개최  
 
  25  
재일 조선족 앨리트군체 형성 주류사회진출 성공  
 
  26  
재일 조선족 방대한 앨리트군체 형성 일본 주류사회진출에 성공 

 

                            소낙비 쏟아지듯 살고 싶다 

 

      소낙비 쏟아지듯 살고 싶다 여름날 소낙비가 시원스레 쏟아질 때면 온 세상이 새롭게 씻어지고 내 마음까지 깨끗이 씻어지는 것만 같아 기분이 상쾌해져 행복합니다 어린 시절 소낙비가 쏟아져 내리는 날이면 그 비를 맞는 재미가 있어 속옷이 다 젖도록 그 비를 온몸으로 다 맞으며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흠뻑 젖어드는 기쁨이 있었기에 온몸으로 온몸으로 다 받아들이고 싶었습니다 나이가 들며 소낙비를 어린 날처럼 온몸으로 다 맞을 수는 없지만 나의 삶을 소낙비 쏟아지듯 살고 싶습니다 신이 나도록 멋있게 열정적으로 후회 없이 소낙비 시원스레 쏟아지듯 살면 황혼까지도 붉게붉게 아름답게 물들 것입니다 사랑도 그렇게 하고 싶습니다... 【 용 혜 원 시 인 님 글 에 서... 】

      세월은 피부를 주름지게 하지만 열정을 포기하는 것은 영혼을 주름지게 한다라고 했습니다. 우리의 인생도 마찬가지입니다. 깨알같은 글씨도 돋보기로 보면 크게 잘 보이니 나의 장점과 열정을 돋보기로 보면서 그것에 집중해 봅시다. 뜨거운 열정으로 나의 삶을 불 태워 보십시요. 언젠가 부터 빗소리가 좋아 거실 창문을 열어 놓고 잠드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아마도 소낙비 같은 열정을 다 발산하지 못한 부족함 때문에 그러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시간은 되돌아 오지 않는답니다... 오늘도 최선을 다하며 행복한날 되시길요... 향기男드림

       
                  THE SOUND OF ANGELS Ⅱ / Hideo Utsugi

 

 

               

                                           

                                          향기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