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보벌 비지네스/중~국 비지네스정보

중국문화와 한국문화 차이점과 공통점

향기男 피스톨金 2007. 10. 15. 10:18

 

          

 

                 
     

                                        향기男그늘집
                                            
첨부이미지

 

중국문화와 한국문화 차이점과 공통점

 2007/10/13 흑룡강신문

한국의 복장문화

 

한 나라의 문화를 알려면 무엇보다 의식주를 살펴보아야 한다. 사계가 뚜렷하고 일교차가 심한 한반도의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한민족의 조상들은 겨울에는 찬바람과 추위를 막아 주는 따뜻한 견직물과 모직물을 즐겨 입고 여름에는 덥고 습윤한 기후에 견딜수 있는 통기성과 땀을 잘 흡수하는 삼베와 모시를 즐겨 입었다.

 

남자들의 한복을 입는 순서는 바지에 허리띠를 둘러맨 후 복조리와 장도를 차고 버선을 신은 후에 행전(行纏)을 친다. 저고리를 입고 조끼를 입은 후에 겨울에는 마고자를 입는다.

 

외출을 할 때는 두루마기를 입고 의례에 참여할 때는 도포를 입는다. 머리에는 망건을 두르고 갓을 쓰고 서민들은 짚신을 신고 양반들은 미투리나 갖신을 신는다. 부녀자들의 한복 입는 순서는 가슴싸개를 두른 후 속곳을 입고 그우에 단속곳을 입고 허리띠를 맨 후에 복주머니를 차고 버선을 신는다.

 

속적삼을 입고 속치마를 입은 후에 겉치마를 입고 저고리를 입는다. 저고리 고름에다 노리개를 달고 나선다. 지금은 복장문화가 변하여 양복을 입고 행사에 참가할 때가 많다.

 

한국의 음식문화

 

한국인의 음식은 계절에 따라 경제적인 형편에 따라 그리고 가정주부의 요리 솜씨에 따라 밥상우에 오르는 밥과 국 반찬의 가지수가 달랐다. 전통적으로 한국인들은 겨울에는 뜨거운 국물과 찌개, 구이, 김치 등을 즐겨 먹고 여름에는 시원한 랭국과 무침, 조림, 쌈 등을 즐겨 먹는다.

 

한국인들이 즐겨 마시는 술은 곡주이고 여름에는 소주를 선호했고 의례행사에는 청주를 사용하였다. 서민들이 즐겨 찾는 술은 막걸리였고 부자들이 즐겨 찾은것은 소주와 약주였다. 전통적인 음료는 식혜와 수정과 화채 등을 즐겨 마셨고 사찰이나 궁중에서 차를 즐겨 마셨다.

 

부자집 사람들은 주로 겨울에는 강정, 약과, 유과, 당과, 엿 등의 과자를 즐겨 먹었고 봄부터 가을까지는 살구, 매실, 복숭아, 오얏, 머루, 포도, 참외, 수박, 사과, 배, 대추, 감, 밤 등의 과실을 즐겨 먹었다.

 

일상적으로 한국인들은 하루에 세끼 이른 아침과 점심 저녁에 밥을 먹는다. 육체적으로 힘드는 일을 할 때는 이른 아침을 먹은 후 오전 10시경에 새참을 먹고 점심을 먹은 후 오후 3시경에 중참을 먹고 저녁을 먹은 후 밤 10시경에 야참을 먹는다.

 

한국인의 참(間食)은 주로 막걸리, 식혜, 칼국수, 수제비, 비빔밥, 떡. 감자, 고구마 등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음료수, 우유, 빵, 컵라면, 어묵, 김밥, 국수, 튀김 등을 즐겨 먹는다.

 

한국의 주거문화

 

한민족은 춥고 찬바람이 불고 눈이 많이 내리는 긴 겨울을 지내기 위해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해주는 온돌이라는 난방시설을 사용하였고 덥고 비가 자주 내리고 습기가 많은 여름을 지내기 위해서 바닥이 시원한 마루를 사용하였다. 추운 북쪽지방에서는 온돌방이 발달하였고 더운 남쪽 지방에서는 마루가 발달되였다.

 

한옥을 짓는 터전은 북쪽의 찬바람을 막아 주고 남쪽의 땅을 경작하기 쉬운 곳을 선택하였다. 한민족은 대부분 남향집을 선호하고 동쪽이나 남쪽으로 대문과 출입구를 설치하였다.

 

대부분 담장으로 이웃집과 경계를 표시하였고  집안팍에 과실나무를 심어 가꾸었다. 초가인 경우에는 일년에 한번 추수를 한 후에 마을 사람들이 모여 벼짚으로 이영을 엮고 용구새를 틀고 새끼를 꼬아서 지붕을 한다. 겨울에는 아궁이에 불을 지펴 주로 방안에서 생활하고 여름에는 주로 시원한 마루에서 생활 한다.

 

대문을 제외한 한옥의 출입문은 문을 오른손으로 밖으로 당겨 열게 되여 있고 방안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대돌을 밟고 문턱을 넘어 서거나 마루를 거쳐 방안으로 들어 간다. 방바닥에 앉아서 주로 생활하고 손님이 왔을 경우 사랑방으로 모시고 주인은 방아래목에 자리를 잡고 방웃목에 앉은 손님과 대화를 나눈다.

 

중국의 복장문화

 

중국은 지역과 민족의 특성에 따라 의복구조가 천태만상이나 그중 전통적으로 중국복장을 대변하는것으로 치포와 중산복이 있다.

 

치포는 원래 만주족의 전통복장이였는데 청나라 때 전국적으로 류행되기 시작하여 현재 중국 전통복장으로 되여 있다. 원통형으로 다리 옆부분이 갈라지고 앞에는 단추가 달려 있으며 칼라가 목부분을 둘러싸고 있는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실용성이 없어 거의 입지 않는다

 

중국의 음식문화

 

중국에는 '백성이란 먹는것을 하늘처럼 섬긴다' 라는 말이 있다. 그래서 력대 황제의 최대 과제는 백성을 어떻게 먹이느냐에 있었다. 적어도 먹게만 해주면 태평성대라고 칭송받을수 있었다.

 

중국요리의 특징으로는 재료의 선택이 자유롭고 다양하기 때문에 지상에 있는것은 거의 모든것이 재료로 활용될수 있다는것이다. 중국음식은 색과 향을 매우 중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인들은 음식의 3대 요소인 색, 향, 미의 조화를 중시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색과 향신료를 많이 사용함으로써 중국 요리의 독특한 맛을 내고 있다는것이다.

 

조리의 기구가 비교적 간단하고 사용하기 편리하고 조리법과 그 과정이 다양한것이 특징이다. 기름을 많이 사용하지만 방법이 합리적이기 때문에 자주 먹어도 쉽게 물리지 않는다. 음식의 수분과 기름기가 분리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녹말을 많이 사용한다. 중국에는 차문화가 상당히 발달하여 수천종류의 차가 있다.

 

중국의 주거문화

 

중국은 긴 력사만큼이나 건축물에 있어서도 독특한 양식을 유지해 왔다. 여기에서는 중국 고전 건축물을 중심으로 건축물에 서려있는 중국인의 특성을 알아보도록 한다. 중국 건축물의 가장 큰 특징은 다른 나라의 건축이 종교건축을 중심으로 발달해온 반면에 중국건축은 궁전건축을 중심과제로 발달해왔다.

 

목조 본위의 건축물이라고 할수 있다. 유명한 만리장성이나 도시와 촌락을 둘러싼 성벽도 건축물에 포함되는데 이런 건축물은 흙이나 벽이나 석재를 주요 건축자재로 리용했다.

 

그러나 이런 이질적인 재료로 지은 건축물도 대부분 목조 건축양식을 답습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건축은 목조 본위라고 할수 있다. 중국건축은 평면 구성에 있어 매우 단순한 편인데 대부분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이고 그 밖의 복잡한 형태를 갖는 경우는 드물다.

 

우선 남쪽에서 북쪽까지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중심축을 설정하고 주요 건축물은 모두 이 중심축우에 남향으로 세운다. 옛날부터 내려오는 구조형식으로 중국건축은 지반우에 기단을 높이 쌓고 그우에 주축돌을 놓으며 주축돌에 기둥을 세우는 구조형식을 취했다.

 

지붕형태에 있어서 중국건축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의 단순한 평면 건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개의 단위 건축물에는 각각 독립된 지붕을 씌우는것이 원칙이다. 

/리봉우